mini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DevOps 2

NginX를 활용한 로드벨런싱

채팅 서비스를 구현하며 NginX를 활용한 로드 벨런싱을 진행했다.version: '3'services: nginx: image: nginx:latest container_name: nginx ports: - "8081:80" volumes: - ./nginx.conf:/etc/nginx/nginx.conf networks: - server depends_on: - auth - chat1 - chat2 auth: image: parkgw9071/auth container_name: auth restart: always networks: - server expose: - "..

DevOps 2025.02.09

NginX를 활용한 로드밸런싱

나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 성능개선을 진행하며 사용자가 많은 상황에서 서버의 부하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으로 로드밸런싱을 실습했다. 환경은 다음과 같다.물리적 서버(?)Raspberry Pi 3 Model B+서버NginX, Spring Boot Server  로드밸런싱은 간단하게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하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한다고 한다.클라이언트와 서버 풀 사이에 위치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한 대의 서버로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준다.로드밸런싱이 항상 필요한가?로드밸런싱은 여러대의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유지하는 방식으로한 대의 서버일 때 보다 비용이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.그렇기에 비용과 트래픽의 양을 적절하게 고민하고 도입하는 것이 적절하다.Scale up에 경우 서버 자체의 성능을 확..

DevOps 2025.01.25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mini

mini0192 님의 블로그 입니다.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3)
    • Java (12)
    • Database (3)
    • DevOps (2)
    • CS (5)
    • 회고 (1)

Tag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9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  • github
  • demeet

티스토리툴바